부가가치세 신고방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기 (부가세 신고기간및계산)
- 일상 정보
- 2023. 1. 9.
1월 부가가치세 신고의달입니다 1월27일까지 신고기간인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시는분들이 많으시죠 자세하게 한번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월래는 25일까지지만 설날 연휴가 있어 27일까지 이틀 연기되어 27일까지라 합니다.
부가가치세 가 무엇인가 (일반과세자,간이과세자)
부가가치세의 뜻은 거래의 단계별 재화라던가 용역에 생성되는 부과되는 조세라던가 일반소비세이자나 그 세부담을 전가를 예방하는 간접세라 할수있습니다 부가가치세의 의무 납세자는 국내에서 독립적으로 사업하는 사람들이나 일반과세자,간이과세자,법인,수입자,재단,단체등 의무로 납세를 해야합니다.

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일반과세자랑간이과세자랑 차이점
일반과세자랑 간이과세자랑은 차이가 엄청난데요 일단 일반과세자는 세율이10% 간이과세자는 1.5~4%이며 매입세금계산서상세액 전액공제가 되며 간이과세자는 매입액의 0.5%공제가 됩니다 그리고 일반과세자는 연간 매출액이8천만원이상이며 간이과세자는 연간 매출액이 8천만원미만일시 간이과세자가 됩니다.

부가가치세 신고방법 세액계산또는 기간에 대해
일반과세자의경우 매출액의 10% 매출세액이며 간이과세자는 매출액x업종별부가가치율x10%-공제세액=매입액x0.5%아무래도 일반과세자는 간단한데 간이과세자의경우 좀 복잡하게 되어 있습니다 업종별로 부가가치율이 다르기때문에 꼭 확인 하시고 하시기 바랍니다.
보통 부가가치세 신고방법에서 과세기간및 신고납부기간은 법인사업자인가아니면 개인일반사업자이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법인은 1년에4번이고 개인사업자는 2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이과세자의 경우는 1년을 과세기간으로 잡아 신고/납부를 한다고 합니다.

그리고 신규사업자나 폐업사업자에대해 말씀드릴께요 신규사업자의 과세기간은 사업개시일로부터 그날이속하는 과세기간종료일까지 이고 폐업사업자는 폐업일이속하는 과세기간의개시일~폐업일까지 입니다.
부가가체시 신고방법은 참다양하게 있는데요 홈텍스에서 전자신고 하셔두되고 아니면 세무서에 가서 신고를 하셔도 됩니다 편한걸로 하시면되시고 만약 부가가치세 신고를 안할시 부가가치세가산세를 내시게 됩니다 잊지마시고 꼭 잘알고 가셔서 하시기를 바랍니다.